킥스사이다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주입기만 있으면 셀프로 가능해요!
  • 2025.04.02
  • 103 views

킥사이다_타이어-공기압-경고등_1.jpg

 

시동을 켜자마자 계기판에 노란 불빛이 깜빡이는 경험, 한 번쯤 있으시죠? 운전자 입장에서 가장 당황스러운 순간 중 하나가 바로 경고등 점등인데요. 특히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은 많은 분들에게 낯선 경고등입니다. 처음 접한다면 “타이어 펑크인가?” 하는 걱정이 들 수 있지요.

 

간단히 말하자면 이 경고등은, 운전자의 안전을 위한 조기 경고 시스템입니다. 큰 이상이 없더라도 특정 조건에서 점등될 수 있으며, 대부분 간단한 조치로 해결되지요.

 

오늘, 킥스사이다가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켜지는 이유와 대처 방법을 하나씩 정리해 보겠습니다.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세 줄 요약

1.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은 기온 변화, 펑크, 센서 이상 등

다양한 원인으로 점등되며, 간단한 점검과 조치로 해결 가능해요!

 

2. 공기압은 ‘공기압 주입기’를 이용해 셀프로 주입할 수 있어요! 

 

3. 적정 공기압 유지만으로도 연비 개선, 타이어 수명 연장,

안전 확보 등 세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어요!

이거, 왜 켜지나요?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점등 원인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은 말 그대로 타이어 내부 압력이 기준보다 낮거나 높을 때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에 의해 점등됩니다. 주행 중 타이어 이상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죠.

 

경고등이 켜지는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타이어 공기압이 권장 기준보다 낮을 때 

● 외부 기온 변화로 타이어 내부 압력이 급변할 때 

● 타이어에 미세한 펑크가 생겼을 때 

● 타이어 교체 이후 TPMS 센서가 초기화되지 않았을 때 

● TPMS 센서 고장 또는 배터리 저하

 

특히 겨울철이나 환절기에는 기온 저하로 인한 압력 변화만으로도 경고등이 켜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공기압만 보충해도 해결됩니다.

 

즉, 경고등이 켜졌다고 해서 타이어가 손상되었다고 단정할 필요는 없는데요. 하지만 어떠한 상황에서도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히 조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 상황별 체크 포인트와 대처 방법을 참고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킥사이다_타이어-공기압-경고등_2.jpg

① 타이어 저압

일반적으로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은 타이어 내부 공기압이 전반적으로 낮아졌을 때 점등됩니다. 이 경우 타이어 접지면이 넓어져 마찰이 증가하고, 연비 저하 및 마모 가속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고속 주행 시 타이어의 구조적 손상 위험도 높아지므로 반드시 공기압을 정상 수치로 보충해 주세요.

 

② 외부 기온 변화

겨울철이나 환절기에 외부 온도가 갑자기 변화하면 타이어 내부의 공기 분자가 수축되며 공기압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은 보통 타이어 4개 중 1개라도 이상이 발생했을 때 점등 되는데요. 만약 타이어 4개 모두 저압이 발생했다면 기온 변화로 인해 경고등이 켜졌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경우에는 공기압을 다시 보충하면 정상화되며, 따로 정비소에 갈 필요는 없습니다. 

 

③ 타이어 펑크(천공) 

만일 1개의 타이어만 경고등이 켜졌다면 타이어 천공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물질이 박히거나 손상된 경우 주행 중 압력이 점점 떨어지며 경고등이 켜지게 되죠. 만일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점등되어 타이어를 확인했을 때, 바람 빠지는 소리가 들리거나 이물질이 보이면 즉시 정비소를 방문하세요.

 

④ 타이어 교체 후 센서 초기화 미진

타이어를 교체했는데도 경고등이 꺼지지 않는다면 TPMS 센서 초기화가 제대로 안 된 상태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차량 매뉴얼에 따라 센서 리셋을 직접 수행하거나 정비소에서 센서를 재설정하세요. 

 

⑤ TPMS 센서 이상 

타이어를 교체하거나 수리한 뒤에는 공기압 센서와 휠에 묻은 실란트(봉합제)를 제거해야 하는데, 이것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았을 경우 경고등이 켜질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스노우 체인을 장착하면 체인이 정상적인 센서 작동을 방해해 경고등이 켜질 수 있죠. 이 경우 센서 작동을 방해하는 실란트나 스노우 체인을 제거하면 정상화됩니다. 

 

또, 배터리 수명 문제, 센서 오작동 등의 문제로도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켜질 수 있습니다. 이때는 센서 교체나 점검이 필요하며, 자가 해결이 어렵기 때문에 정비소 진단을 권장합니다.

 

셀프 공기압 주입 방법, 어렵지 않아요!

타이어의 공기압이 낮은 상태에서 장거리 또는 고속주행을 할 경우, 타이어 접지부의 뒷부분이 부풀어 물결처럼 주름이 잡히는 ‘스탠딩 웨이브(Standing Wave)’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타이어가 파열될 위험성이 매우 높아지기 때문에 장거리·고속주행 중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켜졌다면 즉시 안전한 장소에 정차한 후, 4개의 타이어를 육안으로 점검하시기를 권장합니다. 타이어 측면의 균열, 돌출, 이물질 등을 확인하면 됩니다. 

 

만약 단순히 공기압이 낮아진 상황이면 정비소에 가지 않고도 셀프로 공기압을 보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데요. 공기압 주입기는 주유소, 정비소, 고속도로 휴게소 등에서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마트, 온라인몰 등을 통해 휴대용 공기압 주입기를 구매할 수도 있습니다.

 

공기압 주입기를 이용한 셀프 공기압 주입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킥사이다_타이어-공기압-경고등_3.jpg

① 차량의 적정 공기압을 확인하세요

운전석 도어 안쪽 프레임 또는 연료 주입구를 살펴보면 ‘타이어 권장 공기압’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전륜과 후륜의 공기압 수치가 다를 수 있으니 반드시 확인 후 진행해야 합니다. 타이어 적정 공기압은 psi(파운드 당 제곱인치) 또는 bar(바) 단위로 표시되며, 1psi는 약 0.07bar와 같습니다. 

 

② 타이어 공기압 주입기를 설정하세요

타이어 공기압 주입기는 유선형 또는 무선형으로 출시됩니다. 사용법은 기기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대부분 디지털 게이지가 내장되어 있어 수치를 보며 조절이 가능합니다. 공기압 주입기에 플러스와 마이너스 버튼을 눌러 적정 공기압을 입력합니다.

 

③ 밸브 캡을 제거하고 주입기 노즐을 연결하세요

타이어 밸브에서 캡을 돌려 제거한 후, 주입기 노즐을 단단히 연결합니다. 이때 바람이 새지 않도록 밀착시켜야 합니다.

 

④ 공기압을 주입하세요

원하는 공기압 수치까지 주입기를 작동시킵니다. 일부 제품은 자동으로 멈추는 기능이 있어 초보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⑤ 밸브 캡을 닫아 주세요

주입이 끝났다면 반드시 밸브 캡을 다시 조여 주어야 오염이나 공기 누출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대부분의 차량은 공기압 정상화 후 자동으로 경고등이 꺼지지만, 간혹 수동으로 초기화가 필요한 모델도 있습니다. 이 경우 차량 메뉴얼을 확인해 경고등 리셋을 수행하시기를 바랍니다.

 

셀프 공기압 주입기를 이용한 공기압 보충은 간단하지만, 사용 시 유의할 점도 있습니다. 기기 연결 전 반드시 전원이 꺼져 있는지 확인하고, 공기 주입 전후 노즐 연결 상태를 재확인해야 하죠. 또한 너무 자주 또는 과도하게 공기를 주입하는 것은 타이어 수명에 악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정 수치를 유지하시기를 바랍니다. 

 

킥사이다_타이어-공기압-경고등_4.jpg

 

타이어 공기압은 차량 성능과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공기압이 낮으면 △연비 저하 △과열 △타이어 파열 위험이 커집니다. 반대로 공기압이 높으면 △승차감 저하 △타이어 중앙 편마모 △제동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죠.

 

반면, 적정 공기압을 유지하면 제동 성능도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 고속 주행 시에는 제동 거리 차이가 더욱 커지므로 정기적인 점검이 중요합니다. 다시 말해 자동차에 있어 타이어 공기압 점검은 △연비 절감 △타이어 수명 연장 △안전 확보의 세 가지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차량 관리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타이어는 차량과 도로가 맞닿는 유일한 부위입니다. 공기압 하나만 제대로 관리해도 주행 안전성과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오늘 바로 내 차 타이어 공기압을 확인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소통창구배너_1275x313.png

 

상단으로 바로가기